반응형
포트 강제 종료하기
1. 어떤 포트가 문제인지 찾기
포트 충돌은 보통 톰캣 같은 서버가 기본 포트(예: 8080)를 이미 누가 쓰고 있어서 생겨요. 먼저 이 포트를 누가 점유했는지 확인해야죠. Windows에서 이걸 확인하려면 **명령 프롬프트(cmd)**를 쓰면 됩니다.
방법:
1. cmd 실행
- 키보드에서 Win + R 누르고, cmd 입력 후 엔터!
- 아니면 시작 메뉴에서 "명령 프롬프트" 검색도 O
2. 포트 확인 명령어 입력
netstat -aon
8080은 톰캣 기본 포트인데, 다른 포트(예: 3306, 443)가 문제면 숫자만 바꾸면 됩니다.
3. 결과확인
TCP 0.0.0.0:8080 0.0.0.0:0 LISTENING 12345
여기서 맨 오른쪽 숫자 12345가 **PID(프로세스 ID)**입니다.. 이게 포트를 점유한 프로세스 번호라는 뜻!
2. 포트를 점유한 프로세스 종료하기
이제 PID를 알았으니, 그 프로세스를 종료해서 포트를 종료시키면 됩니다.
taskkill /f /pid 12345
/f 는 강제로 종료하라는 옵션입니다.
3. 다시 톰캣 실행해보기
포트를 비웠으니 이클립스에서 톰캣을 다시 실행 > Servers 뷰에서 톰캣 우클릭 > "Clean" 한 다음 "Start" 누르면 포트 충돌 없이 잘 돌아가게 될 것 입니다. 만약 또 에러가 나면 cmd에서 포트가 정말 비었는지 다시 확인!
추가 팁: 이런 일이 또 생기지 않게
- 이클립스가 자꾸 꺼진다면 메모리 부족일 수 있습니다. eclipse.ini 파일 열어서 -Xmx 값을 1024m에서 2048m으로 늘리기
- 톰캣 포트를 기본 8080 말고 8081로 바꾸고 싶다면 server.xml에서 <Connector port="8080"> 부분 수정하면 충돌 걱정 down
반응형
'코딩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데스크탑 설치 에러 (Docker Desktop requires the Workstation service to be enabled.) (0) | 2025.03.31 |
---|---|
(jQuery) 자바스크립트-제이쿼리 input 이벤트 (0) | 2025.03.24 |
React 설치 (0) | 2025.03.07 |
Spring(STS) 프로젝트 생성 (0) | 2025.01.19 |
STS에 Lombok(롬복) 설정 (0) | 2025.01.19 |